
이번주차 부터는 팀 프로젝트에 들어감에 있어 팀 게시판을 만들어야 한다 기본적인 글작성기능 수정기능 댓글달기기능등 포함해 와이어프레임 git 협업을 통해 실제 개발자들이 일하는 과정을 배운다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render_template('eyij.html') @app.route('/ey_post') def ey_post(): return render_template('ey_post.html') @app.route('/ey_team') def ey_team(): return render_template('ey_team.html') if __name_..
지수 백오프 알고리즘은 TCP/IP에서 사용되는 혼잡 제어 알고리즘 중 하나로, 네트워크 혼잡을 감지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 전송 속도를 감소시키는 알고리즘입니다 이진 트리는 모든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 구조이며, 이진 탐색 트리(BST)는 이진 트리 중 하나로서 왼쪽 자식 노드는 부모 노드보다 작고 오른쪽 자식 노드는 부모 노드보다 큰 값을 가지는 조건을 만족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는 특정 열에 대한 검색 및 정렬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입니다.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향상시키고 쿼리의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인덱스는 자주 검색되는 열에 대해 설정되며, 모든 열에 대해 인덱스를 설정할 수는 없습니다. SQL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

모의 면접 Level 2 1. 멀티스레딩 무엇이며, 사용하는 이유는? 프로그램 내에서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여러 스레드를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응용 프로그램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사용합니다. 2. 데드락은 무엇인가? 둘 이상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서로 자원을 기다리면서 무한 대기 상태에 빠지는 현상입니다. 각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가 가진 자원의 해제를 기다리게 되어, 작업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3. 메모리 누수란 무엇이며, 왜 문제가 되는가? 프로그램이 동적으로 할당한 메모리 영역을 필요하지 않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제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는 메모리가 점점 늘어나는 현상입니다. 시스템의 성능 저하나 실행 오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워터풀, 애자일 방법론에..

SQL - 1주차 SQL 은 ‘코드’ 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요청을 하기 위한 ‘언어’ 이므로, 작성 전에 어떤 요청을 할 지 생각해야한다 원하는 곳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본 명령어 SELECT, FROM SELECT :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본 명령어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모든 Query 에 사용됨 FROM :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특정해주는 문법 * : 모든 컬럼을 가져와준다는 의미 Query 를 실행하는 방법 select * from food_orders 필요한 항목만 뽑아서 사용하기 select 컬럼1, 컬럼2 from 테이블 컬럼에 별명(alias) 을 주기 - 방법1 : 컬럼1 as 별명1 - 방법2 : 컬럼2 별명2 WHERE 절의 개념 데이터 중에 특정 조건을 필터링할때 쓰인다 sel..

모의 면접 자료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서술하시오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기 위한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자료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에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자료구조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의해주세요 자료구조는 데이터의 조직, 관리, 저장을 위한 방법을 정의한 것입니다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합니다 OOP란?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입니다 프로그램을 객체들의 모임으로 바라보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에 대해 무엇이 있으며, 각각 설명하시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로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

자료의 저장과 표현 비트와 바이트 이진수 체계 이진수 체계는 0과 1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하여 수를 표현하는 체계이다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이진수 형태로 표현된다 각 자리의 위치는 2의 거듭제곱으로 증가하며, 오른쪽에서부터 2^0, 2^1, 2^2, ... 순서대로 자리가 배치된다 비트(Bit)의 개념 비트는 이진수 체계에서의 최소 단위로,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모든 데이터는 비트로 표현되며, 정보의 존재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비트는 전구가 켜져 있는지(1) 꺼져 있는지(0)를 나타낼 수 있다 바이트(Byte)의 개념 바이트는 일반적으로 8개의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 단위이다 컴퓨터에서는 바이트가 기본 데이터 크기로 사용되며, 문자, 숫자, 그래픽 등의..